2015. 6. 1. 07:10
[정다운외과 대장항문 질환] - [과민성 장 증후군]
▣ 과민성 장 증후군이란?
소화기관의 기능성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대장내시경검사나 대장 X-선검사에서 이상소견이 없이 만성적 또는 반복적인 소화관 증상들, 즉 복통, 복부 팽만감, 배변 습관의 변화를 가져오며 배변 후에도 잔변감으로 인해 불편을 느끼게 하는 질환입니다.
병원을 찾는 소화기병 환자 중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며 사망과는 무관합니다.
일반인의 15% 정도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가지고 있으며, 소화기 의사를 찾는 환자의 20~50%를 차지 합니다.
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으며 환자의 절반은 35세 이전부터 증상이 시작되며 나머지는 35세부터 50세에서 증상이 시작됩니다.
▣ 과민성 장 증후군 원인
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원인은 비정상적인 운동성, 비정상적인 내장의 감각성 정신적이 스트레스 및 장을 자극하는 물질 등의 4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.
증상으로는 설사형, 변비형, 복통, 가스 팽만형, 이밖에 대변에 점액 변을 보거나 복부팽만감, 트림, 방귀 등이 있으며 소화불량, 속쓰림, 오심, 구토 등이 20~50%에서 동반되며 월경불순이 여자 환자의 90%에서 나타납니다.
▣ 과민성 장 증후군 증상
* 복통이 장의 경련과 관련되며 격심한 통증부터 가벼운 팽만감까지 다양하며 통증의 정도나 느끼는 부위도 다양합니다.
* 변비를 주로 하는 형에서는 짧은 기간의 설사를 하지만 주로 수일부터 수 주일간 계속되는 변비를 호소합니다.
* 설사형에는 소량의 무른 변을 주로 보게 되며 주로 아침이나 숙후에 긴급을 요하는 변을 보게 됩니다.
* 대개 처음 변은 정상이나 그 다음 변은 묽어지고 풀어지고 물변을 보게 됩니다.
배변전에 복통이 있으며 배변 후 완화됩니다.
▣ 과민성 장 증후군 치료방법
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심각하거나 위험한 질환이 아니며, 철저한 이학적 검사 및 혈액검사, 내시경 검사 등으로 기질적인 질환이 없음을 확인해야 하며 불안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소 환자 개인의 증상에 따라 적절한 약물요법과 식이요법을 시행해야 합니다.
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식사와 상당히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평소에 증상을 악화시키는 음식이 있을 경우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▣ 과민성 장 증후군 제한 음식
'대장, 항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다운외과 대장 항문] - [치루의 발생 원인] (0) | 2015.06.03 |
---|---|
[정다운외과 대장항문 질환] - [치루(항문주위농양)] (0) | 2015.06.02 |
[정다운외과 대장항문] - [참기 어려운 항문소양증 치료법] (0) | 2015.05.29 |
[정다운외과 대장 항문] - [올바른 배변 습관 요령] (0) | 2015.05.27 |
[정다운외과 대장 항문] - [치질 환자의 좌욕 방법] (0) | 2015.05.26 |